본문 바로가기
웹소설 리뷰

토끼와 흑표범의 공생관계 로맨스판타지 리뷰

by 끄리 2022. 10. 2.
반응형

토끼와 흑표범의 공생관계 표지 사진
웹소설 '토끼와 흑표범의 공생관계'(작가 야식먹는중)

여주인공은 인간화를 못 치른다는 이유로 상위 포식자인 흑표범의 영토에 버려진다. 숲의 이상한 낌새를 눈치챈 흑표범의 차기 수장인 남주인공은 여주인공을 주워, 같이 살게 되면서 벌어지는 달콤 살벌한 로맨스 판타지이다.

수인물 로맨스 판타지

세계관이 수인물에서 포식자와 피식자는 소재를 활용한 로맨스 판타지는 독자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기에 가장 일반적이면서도 강력하다. 토끼와 흑표범의 공생관계에서의 여주인공은 동물의 세계에서 분명 최하위 피식자의 역할이지만 여주인공의 버프를 받아 상위 포식자인 흑표범들의 보호를 받는 것은 당연하고, 다른 포식자의 관심을 받는 구조로도 엮인다. 이 작품의 포인트는 당찬 여주인공의 성격과 속을 알 수 없는 유혹계 남주인공을 배치시킨 점이다. 겉으로는 씩씩하고 활발한 여주인공이지만, 버려졌다는 트라우마가 있는 여주인공은 남주인공의 입장에서도 마찬가지로 보호해주고 싶은 캐릭터로 묘사된다. 하지만 여주인공이 마냥 보호받는 캐릭터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부분과 그런 점을 알고서 선을 지켜가며 여주인공을 바라보는 남주인공의 로맨스는 아슬아슬한 텐션을 이어가며 스토리를 전개해가는 점이 인상적이다.

토끼와 흑표범의 포식 관계

비비 래비안은 토끼 영토의 명가인 래비안 가의 수인이다. 비비는 흔히들 할 수 있는 수인들의 인간화를 치르지 못해 가족들에게서 버림을 받는 인물로 등장한다. 가족들에게서 버림을 받았다는 상황과 수인이 인간화를 치르지 못하는 것에 대해 굉장한 트라우마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격은 굉장히 씩씩하고 발랄한 편이지만, 가끔 트라우마로 인한 슬픔을 혼자서 삭히는 안타까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비록 가족들에게서는 버려졌지만, 남주인공의 손에 거둬진 후에는 오히려 토끼 영토에서의 생활보다 흑표범 영토에서 대접을 잘 받는다. 중후반부에서 인간화를 치르지 못하는 이유가 수인들이 가지고 있는 페로몬이 있는데 이것이 너무나 강력해서 보통 수인들과는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아힌 그레이스는 흑표범 영토의 차기 수장이다. 인간화를 치르지 못하는 비비를 놀리는 인물로, 비비에게서는 미친놈 같은 이미지로 찍혀 있지만, 상위 포식자답게 성실하고, 책임감이 강하며 배려심이 좋은 편이다. 툭하면 비비를 놀려먹기 일쑤이지만, 그래도 비비의 페로몬에 대해서 뒤에서 조사를 하는 등 비비를 위해서 행동하는 인물이다. 능글남, 유혹남, 능력남 키워드가 있으며, 참고로 웹소설과 웹툰의 남주인공 머리 색은 각각 은발과 흑발로 다르게 묘사된다.

육식 동물의 땅에서 살아남기 위한 초식 동물의 이야기를 가장한 로맨스 판타지

가족들에게서 버려진 비비는 아힌의 손에 주워지게 된다. 그레이스 저택에서 아힌의 먹잇감이자 장난감으로 두려움에 떨며 지내게 되지만, 이윽고 아힌이 단순한 성격 나쁜 미친놈임을 알게 되고, 적당히 그의 비위를 맞추며 지낸다. 아힌은 비비와 함께 지내며 비비가 수인일 거라고 추측한다. 어느 날 비비가 인간으로 변하기 시작하면서 가끔 간헐적으로 인간으로 변한다. 초식계 동물이었던 비비는 생전에 마주치지도 않을 육식계 수인들과 엮이기 시작한다. 아힌은 자신의 페로몬을 이용하여 비비가 인간을 변하지 않게 억제를 한다. 비비는 자신의 트라우마였던 인간화가 가능해짐에 따라 페로몬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공부하고, 운용 연습을 하며 지낸다. 그리고 시간이 흘러 아힌이 토끼 영토에 볼 일을 보러 가게 된다. 비비는 토끼 영토에 가고 싶어 하지만, 혹시나 떠나가버릴 것을 염려해 아힌은 비비를 저택에 두고 온다. 하지만 비비는 자신을 귀엽게 생각하는 아힌의 어머니이자, 그레이스 가문의 수장의 도움으로 토끼 영토로 가게 되고, 그곳에서 자신의 어머니를 만나게 된다. 어머니는 인간화를 치른 비비의 모습을 보고 다시금 가문으로 데리고 와 가문의 위상을 올리려고 한다. 하지만, 비비는 다시 그레이스 가로 돌아오게 된다. 후반부로 갈수록 아힌의 페로몬 발작 비밀이 드러나며 두 주인공들은 잠시 이별하게 되다가 결국 다시 재회하게 되며 여느 로맨스 판타지의 결말처럼 결혼하게 된다.

반응형